Network 7

네트워크 계층 구조와 HTTP 통신 구조

KOCW 컴퓨터네트워크 - 한양대학교 이석복교수 강의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네트워크 계층 구조와 각 레이어의 역할① 네트워크 계층 구조란?Application↓Transport↓Network↓Link↓Physical이 구조는 인터넷 통신을 할 때, 데이터를 어떻게 단계별로 처리하는가를 개념적으로 나눈 것입니다. 이를 "계층 구조 (Layered Architecture)" 라고 부릅니다.각 계층은 위에 있는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래 계층의 기능을 이용합니다.즉, 위로 갈수록 사용자 친화적인 기능, 아래로 갈수록 물리적인 통신 처리를 담당합니다. 각 계층별 대표 프로토콜계층 (Layer)역할대표 프로토콜Application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웹, 메일 등)HTTP, FTP, SMTPTr..

Network 2025.07.10

TCP 신뢰성과 지연 구조

KOCW 컴퓨터네트워크 - 한양대학교 이석복교수 강의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왜 인터넷은 패킷 스위칭을 선택했을까?두 가지 방식의 데이터 전달출발지 → 목적지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에는 다음 두 가지가 있습니다.방식설명대표 예시회선 교환 (Circuit Switching)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물리적인 경로(회선)를 미리 예약해놓고, 그 회선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전화망패킷 교환 (Packet Switching)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쪼개 여러 경로로 전달하며, 즉시 처리 및 라우팅인터넷 인터넷은 왜 회선 교환이 아닌 패킷 교환을 선택했는가?회선 교환의 한계데이터를 보내지 않아도 회선이 계속 점유됨 → 자원 낭비동시 사용자 수가 제한됨 (한 회선에 한 사용자)비효율적, 유연하지 않음패킷 교환..

Network 2025.07.09

데이터 전송 방식: 회선 교환 vs 패킷 교환

KOCW 컴퓨터네트워크 - 한양대학교 이석복교수 강의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네트워크의 중심은 "라우터"이다인터넷의 중심(Core Network)은 라우터(router)라는 장비들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됨라우터는 네트워크의 사거리 또는 교차로처럼 작동출발지에서 목적지로 가는 데이터는 여러 라우터를 거쳐 이동함 데이터를 전달하는 2가지 방식두 가지 방식이 있음:Circuit Switching (회선 교환)Packet Switching (패킷 교환) Circuit Switching (회선 교환)개념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회선)를 미리 예약(전용 회선 할당)하고,그 회선을 오직 하나의 통신만을 위해 사용함예: 전화를 걸면 통화하는 동안 고정된 길을 계속 사용특징연결 방식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경로..

Network 2025.07.08

프로토콜

KOCW 컴퓨터네트워크 - 한양대학교 이석복교수 강의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프로토콜(Protocol)이란? 정의프로토콜은 컴퓨터(또는 네트워크 장비)들끼리 통신을 하기 위한 약속, 규칙, 절차입니다. 왜 필요한가?사람 간의 예시사람들끼리 대화를 할 때도 규칙이 있어야 소통이 됩니다.예:말할 타이밍 지키기인사 먼저 하고 본론 말하기한국어로 말하는 중에 갑자기 영어 섞으면 소통 안 됨❗️이런 대화 방식의 규칙이 사람 사이의 "프로토콜"입니다. 컴퓨터 간에도 마찬가지컴퓨터끼리도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통신 방식"에 대한 약속이 있어야 합니다.어떻게 연결할지?누가 먼저 말할지?말은 어떤 형식으로 전달할지?말한 내용이 잘 전달됐는지 확인은 어떻게 할지?이 모든 걸 정의한 것이 바로 "네트워크..

Network 2025.07.08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방법

KOCW 컴퓨터네트워크 - 한양대학교 이석복교수 강의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란?클라이언트(Client)웹브라우저 같은 사용자 측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터필요할 때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냄항상 연결되어 있을 필요는 없음 (사용할 때만 연결)서버(Server)24시간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다림웹 서버, 메일 서버 등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응답(response)을 보냄즉, 인터넷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구조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하는 방법 (전송 서비스)인터넷이 제공하는 2가지 전송 방식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UDP (User Datagram Protocol)이 둘은 클라이언..

Network 2025.07.08

OSI 기본 참조 모델

『네트워크 쉽게, 더 쉽게』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OSI 란?OSI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만든 네트워크 설계 기준입니다.OSI는 Open Systems Interconnection의 줄임말이며,서로 다른 제조사의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들이 문제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만든 국제 표준 모델입니다. 왜 ‘계층’으로 나눴을까?네트워크 기능을 7단계(7계층)로 나눈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역할 분담: 각 계층마다 책임과 기능을 나누어 설계함독립성 보장: 하위 계층을 바꿔도 상위 계층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기술 발전에 유연하게 대응: 유선 LAN을 무선 LAN으로 바꿔도, 이메일 설정을 고칠 필요가 없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문제 해결의 기준 제공: 네트워크 트러블 발생 시, 어디서 문제가 생..

Network 2025.07.05

누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가?

『네트워크 쉽게, 더 쉽게』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네트워크는 크게 두 부류의 사람들이 사용합니다.① 일반 사용자(개인, 가정용 사용자)예: 집에서 인터넷으로 유튜브를 보고, 메일을 보내고, 쇼핑을 하는 사람들사용하는 장비: 집에 있는 공유기, 스마트폰, 노트북, 스마트TV 등특징: 네트워크 구조가 단순하고 연결된 기기 수가 적습니다.② 기업 사용자(회사, 조직 등)예: 회사에서 사내 시스템으로 근태 관리, 메일 송수신, 파일 공유 등을 하는 직원들사용하는 장비: 서버, 방화벽, 스위치, 프린터 등 다양한 장비특징: 많은 컴퓨터가 동시에 연결되어 있고, 보안이나 속도, 안정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어디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가?네트워크는 장소를 가리지 않고 사용됩니다.집, 회사, 학교, 도서관, ..

Network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