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4

문자열 출력

뉴렉처 [Servlet&JSP 프로그래밍]강의를 통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웹에서의 “출력”이란?웹 프로그래밍에서의 출력이란"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게 텍스트, HTML, 데이터 등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즉, 서버(Tomcat)에 배포된 자바 코드가 실행된 후결과를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 브라우저로 전송해야 웹페이지가 뜨게 됩니다. 출력 도구: HttpServletResponseservice 메서드public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request: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담고 있음response: 서버의 응답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출력용 스트림 꺼내기출력을 하기 위해 response로..

Servlet & JSP 2025.07.05

서블릿 객체 생성과 실행 방법

뉴렉처 [Servlet&JSP 프로그래밍]강의를 통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서블릿(Servlet)이란 무엇인가?서블릿이란:자바로 작성된 서버 측 프로그램으로,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응답을 돌려주는 웹 컴포넌트입니다.서블릿은 일반 자바 클래스와 달리, HttpServlet이라는 클래스를 상속받아 만들어야 하며, Tomcat 같은 웹 서버 위에서 작동합니다. 컴파일 오류 원인: javax.servlet.* 인식을 못 함자바 기본 클래스(JDK)에는 javax.servlet.*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이 패키지는 Tomcat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가 따로 제공합니다.따라서 서블릿 코드를 컴파일할 땐, Tomcat이 제공하는 servlet-api.jar라는 파일을 ..

Servlet & JSP 2025.07.05

객체지향과 인지 능력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아기 실험: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객체 단위로 세상을 본다엘리자베스 스펠크와 필립 켈만은 3개월 된 아기에게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습니다.실험 요약가림막 뒤에 막대 두 개의 끝이 위아래로 보이도록 배치하고, 그 두 막대를 같이 움직임.아기는 이것을 하나의 막대처럼 보고 있다가,가림막을 치고 두 개의 막대가 따로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자 놀라워하며 오랫동안 쳐다봄.반대로 막대가 하나였을 때는 금방 흥미를 잃고 시선을 돌림.결론: 아기들은 이미 이른 시기부터 “하나의 형태로 움직이는 것”을 하나의 객체(단위)로 인식함.핵심 의미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세상을 구분된 객체들의 모음으로 본다.즉, 경계가 있고 함께 움직이는 것은 하나의 객체(단위)로 본다는..

Book 2025.07.05

OSI 기본 참조 모델

『네트워크 쉽게, 더 쉽게』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OSI 란?OSI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만든 네트워크 설계 기준입니다.OSI는 Open Systems Interconnection의 줄임말이며,서로 다른 제조사의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들이 문제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만든 국제 표준 모델입니다. 왜 ‘계층’으로 나눴을까?네트워크 기능을 7단계(7계층)로 나눈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역할 분담: 각 계층마다 책임과 기능을 나누어 설계함독립성 보장: 하위 계층을 바꿔도 상위 계층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기술 발전에 유연하게 대응: 유선 LAN을 무선 LAN으로 바꿔도, 이메일 설정을 고칠 필요가 없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문제 해결의 기준 제공: 네트워크 트러블 발생 시, 어디서 문제가 생..

Network 2025.07.05